[발제 읽기] 3. 인터넷 실명제와 뉴 플레이어 (Todd Thacker / 유저스토리랩 프로젝트 매니저)
2010/06/07 11:04
Posted by " 함께하는 프로젝트/인터넷주인찾기 "
Posted in '인터넷 주인 찾기'에서 '시즌1. 인터넷 실명제 컨퍼런스' 발제자료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6.2 지방선거 때문에 예상보다 자료 정리가 약간 더뎌지고 있는데요. ^ ^;; 이제 거의 마무리되어 가고 있습니다. 자료 정리에는 인주찾기
동지들께서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계십니다(특히, 써머즈님께 감사). 발제문 저작권은 물론 발제자에게
있지만 '인터넷 주인찾기 컨퍼런스' 취지에 동참해주신다는 것을 믿어 의심하지 않기에 그 발제를 사용/향유할 권리는 관심있는 모두에게 모두에게 있다고
생각합니다.
'발제 읽기'라는 형식으로 발제 녹취록과 해당 PPT 자료을 옮겨옵니다. '인터넷 주인 찾기' 사이트를 좀더 알리고, 우리가 함께 이야기했던 그 대화와 토론의 의미를 확산하기 위한 작은 나눔(?) 노가다(?)로 생각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특히나 10~20분 동영상을 볼 수 없을 정도로(설마...^^;;) 바쁘신 독자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직접 동영상과 함께 녹취록을 참조해주시길 추천합니다.
' 발제에 관한 모든 것'은 인주찾기 해당 발제 자료 정리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발제 읽기'라는 형식으로 발제 녹취록과 해당 PPT 자료을 옮겨옵니다. '인터넷 주인 찾기' 사이트를 좀더 알리고, 우리가 함께 이야기했던 그 대화와 토론의 의미를 확산하기 위한 작은 나눔(?) 노가다(?)로 생각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특히나 10~20분 동영상을 볼 수 없을 정도로(설마...^^;;) 바쁘신 독자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직접 동영상과 함께 녹취록을 참조해주시길 추천합니다.
' 발제에 관한 모든 것'은 인주찾기 해당 발제 자료 정리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Korea's real-name verification
and the problems start-ups face
Todd Thacker / UserstoryLab.com project manager (옮긴이 : 나솔)
and the problems start-ups face
Todd Thacker / UserstoryLab.com project manager (옮긴이 : 나솔)

사회자 : 먼저 토드씨는 오마이뉴스에 계시다가 지금 유저스토리랩이라는 벤처기업에 계시는데요,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드립니다.
예, 안녕하세요 (청중 웃음)
사회자 : 한국어로 해주세요
반가워요.
(스크립터주 : 이제부터 영어로 진행됩니다.) 영어로 발표해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글로벌 컨퍼런스잖아요? (청중 웃음)
우선 발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첫번째로 든 생각이 "왜.. 하필 나일까.." 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생각해봤어요. 사실 여태까지 일한 시간의 많은 부분을 한국의 미디어를 국제화시키는 데에 보내왔어요. 처음에는 올드미디어에서 시작을 했고요. 코리아 해럴드의 편집자(editor)로 일을 했고요, 그 다음에는 뉴미디어라고 할 수 있는 오마이뉴스로 옮겨서 5년간 일했고요. 오마이뉴스의 시민기자 저널리즘 모델이 확산될 수 있도록 많은 시간을 들였어요. 오마이뉴스에서는 국제파트를 담당했고요. 그러고 나니까 좀 새로운 것을 하고 싶더군요. 그래서 유저스토리랩에서 일하게 되었고요, 신생 벤처기업입니다.

이전 발표하신 분들께서 실명제에 관한 많은 내용들을 다루어 주셨는데요, 저는 오늘 두 가지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희가 하고 있는 두 가지 서비스를 예로 들어서 말씀드릴게요. 지금 작업하고 있는 유저스토리북 베타서비스가 있고요 .이 서비스는 책을 좋아하는 분들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입니다. 그리고 조만간 트윗믹스라는 트위터 소셜 필터링 매쉬업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입니다. 이 두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실명제 관련해서 어떤 문제가 생길지는 아직은 확실하게 알지 못하지만 고민 중입니다.
처음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서비스 관련이에요. 아직은 일일 10만 트래픽이 발생하는 서비스가 아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실명제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는데요, 앞으로는 글로벌 서비스에 실명제라는 규제를 적용하는 것 관련해서 충분히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저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만 서비스를 제공하려는게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하거든요. 모두 같은 서비스를 사용해야 하는데,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깁니다. 어떻게 해결할지는 고민중이고요. 아직은 모릅니다. 단지 노력하는 중이예요.




서비스 차원의 이슈와 개인 프라이버시 이슈, 이 두 가지가 제가 언급하고 싶었던 두 가지였습니다.





사회자 : 토드, 빨리 진행해 주세요. (청중 웃음)
빨리하려고 하고 있어요.
사회자 : (발제 시간) 10분을 지켜 주세요.
사실 거의 끝나가요.


중요한 부분은 이 부분이에요. 이 여자분은 개발자인데요, 바이러스를 만들고 있어요. 어떤 바이러스냐하면, 유튜브나 다른 서비스의 어디에 댓글을 달았을 때, 컴퓨터가 그 댓글을 기계 목소리로 읽어주는 거에요. 이 아래, 이 남자분은 유투브에 악플을 달고 있어요. "이 동영상, 정말 별로다." 컴퓨터가 이 댓글을 소리내어 읽습니다. 그러자 이 남자분이 깨닫지요. "난 정말 바보였어. 내가 바보라는 것을 몰랐어." 그는 결국 이렇게 생각하죠. "인터넷에 나쁜 글을 올리면 안되겠다." 악플에 대한 해결책의 재미있는 예라고 생각합니다. 악플 문제를 해결하려면 법이 필요한 게 아니라 상식이 필요한 게 아닌가 합니다. 컴퓨터 바이러스를 만들어서 악플 쓴 내용을 읽어주게 만드는 거에요. 이런 악플, 직접 얼굴을 맞댔더라면 안 했을 말이잖아요?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인터넷 주인찾기 시즌1.이 끝났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시즌2.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 컨퍼런스 주제를 같이 고민해 보아요~
어떤 의견을 주셔도 좋습니다.
뭐라고 할 사람 전~~혀 없습니다.
악플도 환영합니다. : )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minoci.net/trackback/1113
댓글
댓글창으로 순간 이동!저 만화가 그런 뜻이었군요--;
네.. ^ ^;;
저도 발표 당시에는 전혀 몰랐었다능...;;
암튼 세어필님 덕분에 무플을 면하는군영!! ㅎㅎ
수고가 많으시근영! 토드씨 발표하시던 중에, 청중에게 질문한 부분이 있었어요. 인터넷에서 악플은 생길 수 밖에 없는 거라고 생각하신다며, 다른 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다고요..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도 이렇게 시간 내주셔서 발제도 해주셨는데, 그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서 보내드리면 좋지 않을까.. 생각만 하다가 시간만 훌-쩍;;
번역하시느라 나솔님게서 노고가 크셨죠. :)
아, 그 부분 기억납니다..;;
컨퍼런스 정리는 간단한 작업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시간이 꽤 걸리는 작업이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