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사상의 스승 달고나(임시 닉네임)와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인터뷰 노하우 이야기가 나와서 서로 대화하면서 급 정리한 글에 살을 붙여서 옮긴다. 원래는 한 블로거 벗이 "인터뷰의 달인 민노씨 인터뷰 노하우 좀 알려주삼"하는 말도 안되는 아부드립을 치길래, '이눔아, 내가 너한테 묻고 싶다'는 심정이 되긴 했으나... 슬로우뉴스에서도 그렇고, 내 블로그에서도 그렇고, 인터뷰는 가장 중요한 취재 양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달고나 선생과 이야기해봤다. 나도 생각을 정리할 겸. 뭐 약간 뻔한 이야기이긴 하다.

<인터뷰 노하우>

1. 노하우는 없다.
"사랑하면 알게되고, 알게되면 보이나니, 그 때에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유홍준) 준비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2. 최대한 친절하자. 그렇다고 알랑거릴 필욘 없다.
인터뷰이에게 친절하자. 처음 만난 사람이라더라도 일단 최대한 호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자. 인터뷰이가 좋게 써줄 거라는 믿음과 기대감을 갖는게 중요하다. 없는 이야기도 하고 싶게 만들자. 그렇다고 비판적인 관점을 잃어버리는 라는 건 아니다. 오히려 비판적인 관점을 잃으면 안된다. 그 순간 그건 인터뷰가 아니라 홍보가 된다. 세상에 이미 많은 빨아주는 인터뷰들이 즐비하다. 다만, 비판을 하더라도 인터뷰이가 호감을 갖고 이야기할 수 있는 태도를 유지하도록 노력하라는 얘기다. 비판적 관점 유지는 너무 당연하게 중요해서 아예 언급하지 않겠다.

3. 인터뷰(어)의 페르소나
개성있는 페르소나를 만들겠다는 컨셉도 좋다. 일정한 컨셉(유머, 시니컬, 쿨가이, 핫가이, 똘똘이 스머프 등등)에 따른 일정한 질문 코드, 자신만의 기승전결을 염두에 두면, 그 코드대로 어느 정도까지는 수월하게 인터뷰할 수 있고, 또 페르소나를 만들 수 있다. (좋은 예: 리수령 인터뷰)

4. 무엇보다 캐스팅
의미와 재미를 끌어낼 만한 캐스팅이 중요하다. 인터뷰어가 아무리 훌륭해도 인터뷰이에게 끌어낼 의미도, 재미도 없으면 인터뷰할 필요 자체가 없다. 여기서 좋은 캐스팅이라는 건 무슨 대단한 네임드와 인터뷰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시의성을 쫓으라는 말도 아니다. 또 세상에 자신만의 이야기를 가지지 않은 사람도 없다. 누구에게나 이야기가 있는 법이니까. 하지만 인터뷰어가 생각하기에 '듣고 싶은 이야기'가 있는 사람(인터뷰이)과 인터뷰해야 한다는 거다. 인터뷰이가 듣고 싶은 이야기가 없는 사람과 인터뷰할 필요는 전혀 없다. (참고: 슬로우뉴스 인터뷰

5. 인터뷰(이)의 입체성
리수령 인터뷰는 일정한 틀을 갖고 일정한 리승환식 유모를 적절하게, 반복적이고(그래서 그건 코드다) 활용하면서 독자들에게 읽는 재미와 더불어 안정감을 준다. 이 방식은 일정한 코드를 통해 독자들에게 그 코드의 즐거움과 몰입감을 높여주고, 인터뷰이 캐스팅만 괜찮다면, 평균적으로 퀄리티 있는 인터뷰를 왕성하게 생산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이를 그 코드 안에서 비슷비슷한 존재로 몰개성화할 수 있는 위험과 단점이 있다. 어떻게 보면 인터뷰이의 입체성을 섬세하게 살릴 수 있는 형식은 아니다. 이런 점도 고려해야 한다. (4.와 비교해 장점과 단점을 형량할 것)

6. 독자를 무시하면 안된다.
독자가 많이 읽어줬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애절한 바람을 갖고 인터뷰를 진행하고, 정리하자. '이해 못하는 니네가 부족한거야'라는 식 태도는 곤란한다.

7. 마지막으로, 인터뷰에서의 관점: 인터뷰는 마치 다큐영화와 같다.
인터뷰는 마치 다큐멘터리 영화와 비슷하다. 객관적인 것 처럼 보이지만 실은 객관적인 인터뷰라는 건 세상에 없다. 촛불집회가 있다고 치자. 촛불 든 우리 쪽에서 전경을 비추는 카메라와 전경 쪽에서 우리 쪽을 비춘 카메라는 전혀 다른 촛불의 의미를 들려줄 것이 뻔하다. 형식적으로 열쇠를 쥔 건 인터뷰이가 아니라 인터뷰어다. 그래서 극단적으로 말하면, 인터뷰이는 일종의 배우와 같은 존재다. 훌륭한 감독이라면 별 볼 일 없는 배우를 멋지게 연출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어쩌면 가능하다. 하지만 인터뷰이를 배우로 취급하는 인터뷰는 재밌는 인터뷰일 수는 있어서 훌륭한 인터뷰는 될 수 없다.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인터뷰어와 인터뷰이가 함께 감독이자, 배우로서, 또 스탭으로서 자신의 철학과 관점으로 밀당(밀고당기기)하는, 혹은 전투(?)하는 인터뷰야 말로 가장 훌륭한 인터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인터뷰는 (연인간의) 밀당이 될 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적대적인) 전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는게 중요하다(예: 프로스트/닉슨, Frost/Nixon). 인터뷰어가 인터뷰이의 말을 그대로 '전해주는 사람'이 아니듯, 인터뷰이 역시 '인터뷰어의 인형(배우)'은 아니다. 다만 위 6.에서 말했듯, 인터뷰어는 무엇보다 자신이 들려주고 싶은 인터뷰의 독자들, 그 독자들의 가정적 시선과 관점을 존중하지 않으면 안된다.


트랙백

트랙백 주소 :: http://minoci.net/trackback/1346

댓글

댓글창으로 순간 이동!

가벼운 마음으로 댓글 한방 날려주세요. : )

댓글 입력 폼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