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거와 노래방

2012/05/05 04:34
1. 내 친애하는 블로거 벗들, 참 노래방 싫어한다. 8년 동안 우정을 나눴다. 온라인이 생활이고, 오프라인 회의와 번개가 소풍인 그런 나날들. 그런데도 소풍에서 노래 한번 부르지 못했다니!! 누가 블로거들은 노래방을 싫어한다는 가설을 실험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내가 노래방 가자고 하면, "됐거든요!" 대개 이런 반응이다. 올해엔 꼭 한번 블로거 친구들과 노래방에 가고 싶다. 

2. 나는 나이를 밝히는 걸 아주 싫어한다. 언제부터 그랬는지는 모르겠다. 한 서른 넘어서부터 그랬던 것 같다. 무슨 대단한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다. 누구나 흔히 이야기하는 그런 이유, 쪽팔려서 그런다. 나이값 못하니까. 그건 대단한 원칙도 아니고, 무슨 고귀한 가치를 위해서도 아니다. 그렇다고 무슨 신비로운 드라마가 숨겨져 있지도 않다. 그냥 쪽팔려서다. 그 쪽팔림에 대한 자기 방어 심리가 때론 소중한 벗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걸 생각하니 나도 마음이 아프다. 물론 좀 서운하기도 하다. 세상이 참 마음 같지 않다.

3. 슬로우뉴스에 하루 12시간은 쓰는 것 같다. 정말 시간이 미친듯이 빨리 흘러간다. 야동 본지도 오래다(!). 최근에 허프 분석을 번역 요약한 글을 읽었는데, 그 글에 '포르노를 포워딩하는 건 전혀 쿨해보이지 않아.' 뭐 이런 소리가 나온다. 상관없는 맥락이지만, 난 포르노를 좋아하는 쿨한 사람이 되고 싶다. 각설하고, 정말 좋은 글이 많아서 뿌듯하다. 최고나 최대의 저널리즘을 꿈꾸지는 않지만, 누군가에겐 너무도 소중한, 꼭 필요한 저널리즘은 욕심내고 있다. 그런데 늘 이야기하는 것처럼 웹에 자리한 모든 의미의 거푸집 가운데 그 뿌리, 정말 정말 중요한 실뿌리들은 블로그에 존재한다. 앞으론 슬로우뉴스 때문에 블로그를 소홀히 하는 일이 없어야겠다. 물론 나는 앞으론 여기, 민노씨.네라는 작은 내 온라인 실존의 집에 '긴 글'을 쓰지는 않을 것 같지만... 드디어(이제야?) 하루 평균 방문객이 천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는데, 긴 글 때문에 고생했던 모든 독자들, 벗들에게 감사드린다.

5. 때론 아이처럼 펑펑 울고 싶다.



어떤 오버랩: 한명숙의 "사최"

2012/04/21 00:40

민주통합당의 오타

민주통합당(이하 ‘민주당’) 페이스북 펜페이지에 있는 한명숙 대표 사퇴 동영상. 그런데 제목이 이상하다. 사최? 한눈에 봐도 오타다. 자판 ‘ㅌ’ 대신 ‘ㅊ’를 누른거겠지. 누군가 ‘오타는 당대에 발견되지 않는다’고 쉽게 발견되지 않는 오타의 오묘한 세계를 재치 있게 이야기한 바 있다. 한명숙 사최는 그런 ‘오묘한’ 세계에 있지도 않다. 그냥 성의가 없다. 그 뿐이다. 그게 민주당 소속의 페이스북 관리자인지, 아니면 민주당에서 외부에 용역을 맡긴 업체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이 사소하다면 사소한 오타 하나에 지난 4.11 총선에서 민주통합당이 실망스러운 모습, 특히 꼼꼼하지 못한 대충 대충의 느낌이 그야말로 오버랩 된다. 민주당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느낌은 ‘대충 대충’과 ‘도로 민주당’이란 이미지다. 체계도 없고, 시스템도 없으며, 따라서 미래를 전망하는 정치 프로그램도 당연히 없다. 그냥 대충 대충 항상 도로 그 자리의 느낌이랄까? 그런데도 국민들은 새누리와 민주당이라는 두 개의 선택지 사이를 그야말로 무던하게 시이소오 타기 할 뿐이다. 참 그야말로 지겹게도 무던하다. 지난 총선 민주당의 패배 원인에 대한 제대로 된 분석이 궁금한 독자들은 한사(coldera)의 역작, ‘기마병 정치의 종말: 19대 국회의원 총선에서 보여준 민주통합당의 한계(슬로우뉴스)를 읽는 것도 좋겠다. 몇 가지 부분에선 이견이 있으나 빼어난 통찰들이다.



종종 즐겨 인용하는 황지우의 지적.
범죄자의 진실, 범죄자가 거짓을 숨기기 위해 드러내는 진실. 이 기억에 의해 조금씩 변형되어 정확한 문장은 기억나지 않는 시의 단편을 떠올리면 조선일보가 연상된다. 조선일보가 진실을 기만하고, 거짓을 유포하며, 탐욕을 추구하는 방식은 때론 아주 훌륭할 만큼 객관적인 형태로 드러나서, 그건 마치 거짓을 숨기기 위해 드러내는 언어의 연금술과도 같다.

그리고 슬로우뉴스에 캡콜드가 올린 이 글을 거듭 읽으면서, 나는 양치기 소년에게도 진심은 있을까, 떠올린다. 그건 마치 조선일보의 이란성 쌍둥이 같은 모습이다. 거듭되는 실망감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 양치기 소년에게 진심이 있다고 믿고 싶다. 그래, 니 맘 안다... 그래, 그래. 하지만 그 진심이 거짓과 기만으로 직조된, 그래서 도저히 구원할 수 없는 진실이라면, 그리고 그 진심이 스스로에게 너무 커서 거짓과 진실도 구별할 수 없는 장님의 맹신이 되었다면, 그 때, 그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양치기 소년에게 거짓말의 용기(!)를 불어넣는 건 외로움일까, 아니면 그저 그 자체의 욕망일까.



복화술로서의 블로그

2012/04/11 09:34
총선 아침에 뜸금없이 이 무슨 자다가 봉창인지 모르겠지만, 문득, 글쓰기와 말하기의 경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본다. 레비스트로스는 말하기와 글쓰기를 다르다고 인식한 것 같다(해체비평. 고려원, 품절). 정확히 기억나지도 않지만, 한 미국 불문학자(혹은 영문학자)가 레비스트로를 비판하는 데리다를 묘사한다. 기억에 의존해 인상적인 문구를 옮기면 이렇다. '문명과 야만의 나눔이 없던 시절, 글쓰기의 폭력이 없던 시절...' 이야기인 즉, 레비스트로스는 글쓰기야말로 야생을 야만화하고, 야생을 이성의 타자로 만드는 야만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는데(이 테마가 가장 대중적으로 히트한 게 앙리레비의 '인간의 얼굴을 한 야만'인 것 같다), 데리다는 말하기에 내재적으로 글쓰기가 담겨 있다고 레비스트로스를 비판한다는 뭐 그런 맥락이다. 정리하면 데리다가 생각하기에 레비스트로가 주장하는 말하기와 글쓰기의 이분법은 허구이며, 말하기에 대한 향수는 나이브하다... 뭐 이런게 아닌가 싶다. 나는 어느 쪽인가 하면 레비스트로스에 좀더 가깝다(그렇다고 데리다의 비판이 의미 없다는 건 아니다). 말하기는 말초적이고, 외부-반응적이다. 글쓰기는 이성적이고, 내부-반응적이다. 양자의 성격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는 없지만, 사유의 강이 흐른다고 할 때, 말하기는 마치 내 사유의 흐름들 그 전부에 훨씬 더 가깝지만, 그것은 외부-반응적이기 때문에 말초적인 형태로 튀어나온다. 반면 글쓰기는 그 사유의 강에 던져진 그물 같은 것이라서 사유의 흐름 중 극히 일부만을 포착할 뿐이지만, 그럼에도 내부-반응적이기 때문에 훨씬 더 조직이고, 정돈된 이야기의 형태로 재생산이 가능하다. 글쓰기라는 건 일종의 복화술 같은 것이 아닌가 싶다. 말하기의 욕망은 너무도 광범위하기 때문에 대부분 정돈된 언어적 형상이 아닌 비정형적인 웅엉거림으로 존재하는데, 글쓰기는 그걸 구체적이 문법과 단어로 포착해야 한다.

그동안 블로그란 게 뭔지를 나름으로 고민해왔다. 현재 상황에서 나에게 블로그란 일종의 복화술(말하기와 글쓰기의 괴리)이다. 뭔가 말하고 싶지만, 그건 항상 웅얼거림에 불과하고, 그걸 언어로, 문법으로, 명징한 단어로 포착하려고 하면 그 웅엉거림이 만들어진 외부-반응적 사유의 재료들은 이미 화석화하거나, 증발해버리고 만다.

언젠가 아거는 블로그를 '내러티브를 가진 인간의 목소리'라고 이야기했다. 나는 이 말을 아주 긍정한다. 하지만 나는 앞으로 내러티브로서의 완결성을 고려하지 않으려고 한다. 나름으로 블로깅 방법론에 대한 일대 결심인데, 왜냐하면 점점 더 웅엉거림이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걸 도무지 정확한 나만의 문법화된 언어로 포착하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진다. 그러니 나는 그 웅엉거림이나마 그때 그때 적어둘 수 밖에는 없는 노릇이다....


2002년 대선이 끝난 뒤에 '인터넷이 대통령이 만들었다'는 환호가 있었습니다. 이른바 '세계 최초 인터넷 대통령 로그 온하다'(가디언)라는 칼럼이 노무현 대통령 취임의 역사적인 순간을 장식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대통령을 만들었다는 풍문 뒤로 노무현 정권에서 최초의 '(선거운동기간) 인터넷 실명제'(2004년)이 만들어졌습니다. 우상호에 의해 (인터넷 전반의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 저작권법이 개악되었고, 인터넷은 국가권력이 바라보기엔 여전히 통제와 감시의 대상에 불과했습니다. 이제 SNS가 국회의원 만든다는 호들갑이 세상을 떠돌고 있습니다. SNS가 대통령을 만든다는 풍문이 곧 도착할 예정입니다. 정말 그렇습니까?! 예측과 분석을 위해선 현재의 좌표에 대한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에 슬로우뉴스와 미디어유에서 설문조사를 준비했습니다.

SNS와 총선의 상관관계에 대한 설문조사~!

http://bit.ly/I7gRuH (오늘까지!!)  

클릭 한방~!!!